티스토리 뷰
목차
작년부터 우리나라 대형주 중에서 가장 핫한 기업이 있습니다. 그 기업은 바로 SK하이닉스입니다. 오늘은 SK하이닉스 기업 소개와 주가 분석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SK하이닉스 기업 소개
메모리 반도체는 전 세계에서 단 세 곳의 기업만이 유의미하게 생산을 해낼 수가 있습니다. 바로 삼성전자, 마이크론 그리고 오늘의 주인공 바로 SK하이닉스입니다. SK하이닉스는 1949년 10월 국도건설 주식회사로부터 역사가 시작됩니다. 이후 1983년 2월에는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로 상호명을 변경하였고 2001년 3월에는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로 명칭을 변경, 2012년 3월이 되어서야 SK하이닉스 주식회사로 상호를 최종 변경하였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으며, 종목코드는 000660입니다. SK하이닉스 본사는 현재 경기도 이천에 위치해 있으며, SK하이닉스의 주력 생산 제품은 디램, 낸드플래시,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또한 시스템 LSI분야인 CIS 사업과 파운드리 사업도 조금이나마 추진하고 있어 종합반도체 기업으로 영역을 넓혀나가려 하고 있습니다. 현재 SK하이닉스는 메모리반도체 중 하나의 종류인 HBM을 주력으로 삼아 글로벌 시장에서 엄청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HBM은 고대역폭 초고속 메모리를 뜻하는데 AI 시대에서는 엄청나게 방대향 양의 일을 한 번에 처리해야 합니다. 그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GPU가 매우 필요하며 이 GPU에 있어 HBM이라는 메모리 반도체가 반드시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합니다. 이에 따라 이번 2024년 3분기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7조를 넘어서는 엄청난 이익을 달성하였으며, 영업이익률 또한 엄청나게 급성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주가 분석
SK하이닉스는 시가총액이 142조이며, PER은 57배 정도입니다. 현재 SK하이닉스는 AI 글로벌 시대를 예견하여 HBM에 힘을 많이 실은 덕에 엄청난 수혜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주가가 반영하여 2024년 7월11일에는 주가가 248,500원까지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박스권에서 횡보하다가 모건스탠리의 반도체 겨울론과 일본의 앤 캐리트레이드 자금으로 인해 외국인들의 수급이 급격하게 빠져 단 2개월 만에 SK하이닉스의 주가는 144,700원까지 빠지게 됩니다.
이후 SK하이닉스의 주가는 쌍바닥을 찍은 이후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아직 SK하이닉스의 업황은 끝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주가가 반영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 기대감으로 계속 오르다가 3분기 실적 컨센서스보다 더 좋은 실적이 발표되어 재차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다시금 20만원을 회복하는 폭발적인 주가 급등을 보여주었습니다.
일봉상 아직도 5일선을 지키고 있기 때문에 수급이 매우 매우 강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최근 뚫기 힘들었던 120일선까지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에 힘입어 뚫었기 때문에 기다린다면 엄청난 상승을 한 번 더 기다릴 수 있는 상태입니다. 주봉상으로도 차트는 전혀 문제 없으며 월봉상으로는 5개월선에서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SK하이닉스 주가 분석상 아직도 더 갈 자리가 남아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매우 기대가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SK하이닉스 향후 전망
HBM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업이 전세계에서 현재 단 3곳밖에 없습니다. 삼성전자, 마이크론 그리고 SK하이닉스입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엔비디아가 원하는 차세대 HBM인 HBM3E 12단은 현재 SK하이닉스밖에 생산해내지 못합니다. 엔비디아는 현재 GPU가 내년까지 완판이 나있는 상태이며, 이에 따라 SK하이닉스의 HBM도 이미 완판이 나있는 상황입니다. 이렇다 할 경쟁자가 존재하지 않는 현 상황이기 때문에 영업이익률도 매우 높습니다.
최근 모건스탠리에서의 반도체 고점론을 펼치며 SK하이닉스의 적정 주가는 12만원이라는 평을 내놨습니다. 그래서 SK하이닉스는 엄청나게 폭락을 거듭했고 그 근거로는 HBM의 생산물량이 수요보다 많아져 공급 과잉을 초래할 것이다라는 의견입니다. 하지만 이는 말도 안 되는 근거입니다. HBM은 주문형 생산 제품이기 때문이고 HBM에 적극대응하기 위한 생산설비를 확충하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많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모건스탠리의 경고와 반대로 주가는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번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은 이 보고서가 완전히 잘못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실적에는 매출액 17조, 영업이익 7조를 달성하였고 영업이익률은 40%, 순이익률은 33%를 달성하였습니다. 이는 실로 엄청난 수치이며,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입니다. 이번이 마지막이 아니고 앞으로가 더욱 기대가 되는 이유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